주식 입문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재무제표, 그중에서 수익과 직결되는 (돈이 되는) 기본 용어와 그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1. 재무제표의 큰 틀
2. 재무제표에서 돈되는 지표
재무제표의 큰 틀
재무제표는 크게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로 이루어져 있다.
손익계산서는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이익, 비영업손익, 순이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을 팔아서 벌어들인 돈의 총액으로 보면 되고, 매출원가는 해당 상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를 구입한 비용을 말한다.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해당 기업을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 (예, 직원 월급, 광고비, 접대비, 소모품 비용 등)이다.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를 제회한 금액이다. 비영업손익은 영업과 무관한 소득과 지출 (예, 금융손익, 외환손익 등.)을 말하며, 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비영업 손익을 제외한 이익을 의미한다.
재무상태표는 해당 기업이 가진 총자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채무, 부채, 자본 총계 등)을 보여준다.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름 등을 보여준다. 실제로 워런 버핏은 주주가 벌어들이는 진정한 수익은 잉여현금흐름 지표로 기업의 영어활동 현금흐름에서 기업의 유지와 성장에 필요한 설비 투자에 필요한 금액을 차감힌 금액이라고 주장했다.
재무제표에서 돈되는 지표
1. PSR (Price Selling Ratio):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지표 (PS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2. GP/A(Gross Profit/ Asset): 매출총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지표 (GP/A)가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3. POR (Price Operating Earnings): 시가총액을 영업이익으로 나눈 지표 (POR)가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4. EV/EBIT (Etrprise Value/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 기업가치를 영업이익으로 나눈 지표 (EV/EBIT) 지표가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5. PER (Price Earnings):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 (PER)가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6. 유동자산에서 부채총계를 뺀 금액이 시가총액보다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7. PBR(Price to Book Ratio): 시가총액을 자본총계로 나눈 지표(PBR)가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8. PCR(Price per Cash Flow Ratio): 시가총액을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나눈 지표 (PCR)가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9. PFCR(Price Free Flow Ratio): 시가총액을 잉여현금흐름으로 나눈지표 (PFCR)이 낮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10.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11. 분기 순이익 증가율이 높은 기업의 주식이 수익률이 높다.
마무리
이상 주식 재무제표에서 알아야 할 기본 용어들 및 돈이 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았다. 해당 지표들을 적절히 분석하고 여러 가지 자산 배분 전략을 섞어서 접근한다면 수익률은 은행 금리보다 높고 리스크는 줄일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으름뱅이 자산배분_영구포트폴리오 (2) | 2022.09.30 |
---|---|
디지털 노마드라고 쓰고 디지털 노가다로 읽다! (0) | 2022.09.28 |
경제적 자유 과연 얼마가 필요할까?_하면된다 퀀트 투자2 (0) | 2022.09.26 |
역행자-돈, 시간, 운명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 (2) | 2022.09.25 |
주식 퀀트_하면된다 퀀트 투자 1 (0) | 2022.09.24 |
댓글